![](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29A505C57A70E06)
안녕하세요 하이파파 입니다. 오늘은 마이크론 Crucial BX500 240GB 아스크텍을 한번 써보려고 합니다.
두번째로 다뤄보는 SSD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F734D5C3412711E)
마이크론은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로 세계 반도체 업계에선 손꼽히는 대기업 입니다.
SK하이닉스랑 비슷한 정도일까요..주요 상품으로는 메모리, SSD등이 있습니다.
국내 유통은 아스크텍과 대원 CTS 두군데에서 담당하며, 아스크텍이 AS가 좀더 낫다는 평이 많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1B44C5C34133620)
BX500은 마이크론의 SSD 제품군 중 보급형 라인입니다. 2.5"타입에 SATA3 인터페이스로 스펙상 읽기, 쓰기 속도는 각각 540/500MB/s 입니다.
120/240/480 GB 3가지로 출시되었으며, 240GB의 가격은 다나와 최저가 기준 37,900원 입니다. 1GB당 158원의 가격으로 정말 싸긴 쌉니다.
그리고 왜 컨트롤러가 표기 안된지는 모르겠지만, 실리콘모션 SM2258XT를 사용하였습니다. 즉 DRAM 이 없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DRAM이 없으면 SSD의 속도가 떨어집니다. 이점은 분명한 단점이니 스펙에 표기를 안한걸까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EF0505C341E0B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3BD505C341E0B2A)
제품 박스입니다. 박스도 절감이 약간 느껴지는게, 마이크론 MX 시리즈에 비해 박스가 얇아지고 단순해졌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253425C578A3F27)
박스 전면에 붙어있는 정품스티커를 붙여야 AS가 가능하며, 보증기간은 3년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349505C341E0D1F)
제품 전면에 용량, 인터페이스, 시리얼 넘버 등 주요 스펙이 기재되어 있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4E9505C341E0D2E)
후면에는 Crucial 로고와 간단한 디자인으로 BX가 음각되어 있습니다.
근데 하우징이 플라스틱이네요. 보통 알루미늄을 많이 쓰는데 이 또한 원가절감일까요? 3만 8천원대의 가격을 생각하면 수긍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EFB475C578AB82B)
이제 실제로 사용해볼 차례입니다. 시스템은 Ryzen 7 1700/B350/DDR4 8GB*4/Windows 10 RS4의 환경입니다.
성능 벤치는 클린 상태/50% 사용한 상태 두가지 변수에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실행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진행했던 또다른 BX500 240GB의 결과를 같이 비교 해보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FBB4E5C57A62908)
먼저 CrystalDiskInfo를 통하여 상태를 확인 해봤습니다. 전과 같이 실제 용량은 223.6GB로 나오네요.
자기감시 체계인 SMART를 비롯하여 APM, NCQ, TRIM, DevSleep의 기능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69F3D5C57981A32)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CrystalDiskMark 입니다. 왼쪽이 클린상태, 오른쪽이 50% 채워진 상태 입니다.
초당 최대속도를 나타내는 Seq Q32T1을 보면 클린상태에서는 스펙과 비슷한 속도를 보여주지만, 50% 상태에선 쓰기속도가 하락합니다.
실제 체감성능을 나타내는 Q32T1 4KiB를 보면, 소폭 하락을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889495C3458B621)
먼저 진행되었던 BX500의 결과 입니다. 수치상 차이는 있지만,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비슷합니다.
그리고 지난 필드테스트의 50%의 쓰기속도 230은 잘못 측정되었단게 확실해졌습니다.
어째 지난 필드테스트 제품이 Q32T1 읽기 수치가 더 높게 나오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770365C5798C534)
다음은 AS SSD Benchmark 2.0 입니다. 앞의 CrystalDiskMark와 비슷하지만 성능을 점수로 환산하여 보여줍니다.
초당 최대속도는 520/470 으로 측정 됩니다. 속도 하락이 있으나 변화폭이 크진 않습니다.
그리고 이번 테스트에선 벤치마크 프로그램에 무슨 오류가 있는지, 액세스 타임이 측정 되지 않았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2794F5C3464DC0C)
지난 필드테스트의 AS SSD Benchmark 2.0 입니다. 종합 스코어가 약간 낮네요. 제품마다의 차이..?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C293B5C57A26807)
세번째로 나래온 더티테스트를 구동 해봤습니다. 최대속도는 505, 최소속도 40, 평균 속도는 148로 나오네요.
지난 테스트와 비교시 최대속도는 비슷하지만 평균속도는 많은 차이가 납니다. 아무래도 뽑기운일까요?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이 5.5%로 지난 테스트보다는 나은 모습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B40485C3467D111)
지난 더티테스트 결과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0834C5C57A60605)
그리고 BX500은 전용 소프트웨어인 STORAGE EXECUTIVE를 이용하여 Momentum Cache, Flex Capacity, 오버 프로비저닝 등 여러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마이크론 Crucial BX500을 살펴 보았습니다. 역시 지난번에 이어 읽기 속도는 준수하나 쓰기 속도에서 불안정한 결과를 보여주네요.
그리고 같은 제품, 같은 테스트에서 무시할수 없는 차이가 나는걸 보면 약간의 뽑기 운도 필요한가봅니다.
따라서 고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작업엔 부적합해 보입니다. 하지만 간단한 문서작업, 저사양 게임 등 가벼운 사용 목적을 가진 PC용도로는 역시 이만한 제품이 없습니다. 어찌보면 가장 중요한 스펙인 가격이 너무나 뛰어나기 때문이죠. 부담없는 가격에 SSD를 접해보고싶다면 BX500을 추천드립니다.
이상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29A505C57A70E06)
안녕하세요 하이파파 입니다. 오늘은 마이크론 Crucial BX500 240GB 아스크텍을 한번 써보려고 합니다.
두번째로 다뤄보는 SSD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F734D5C3412711E)
마이크론은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로 세계 반도체 업계에선 손꼽히는 대기업 입니다.
SK하이닉스랑 비슷한 정도일까요..주요 상품으로는 메모리, SSD등이 있습니다.
국내 유통은 아스크텍과 대원 CTS 두군데에서 담당하며, 아스크텍이 AS가 좀더 낫다는 평이 많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1B44C5C34133620)
BX500은 마이크론의 SSD 제품군 중 보급형 라인입니다. 2.5"타입에 SATA3 인터페이스로 스펙상 읽기, 쓰기 속도는 각각 540/500MB/s 입니다.
120/240/480 GB 3가지로 출시되었으며, 240GB의 가격은 다나와 최저가 기준 37,900원 입니다. 1GB당 158원의 가격으로 정말 싸긴 쌉니다.
그리고 왜 컨트롤러가 표기 안된지는 모르겠지만, 실리콘모션 SM2258XT를 사용하였습니다. 즉 DRAM 이 없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DRAM이 없으면 SSD의 속도가 떨어집니다. 이점은 분명한 단점이니 스펙에 표기를 안한걸까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EF0505C341E0B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3BD505C341E0B2A)
제품 박스입니다. 박스도 절감이 약간 느껴지는게, 마이크론 MX 시리즈에 비해 박스가 얇아지고 단순해졌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253425C578A3F27)
박스 전면에 붙어있는 정품스티커를 붙여야 AS가 가능하며, 보증기간은 3년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349505C341E0D1F)
제품 전면에 용량, 인터페이스, 시리얼 넘버 등 주요 스펙이 기재되어 있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4E9505C341E0D2E)
후면에는 Crucial 로고와 간단한 디자인으로 BX가 음각되어 있습니다.
근데 하우징이 플라스틱이네요. 보통 알루미늄을 많이 쓰는데 이 또한 원가절감일까요? 3만 8천원대의 가격을 생각하면 수긍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EFB475C578AB82B)
이제 실제로 사용해볼 차례입니다. 시스템은 Ryzen 7 1700/B350/DDR4 8GB*4/Windows 10 RS4의 환경입니다.
성능 벤치는 클린 상태/50% 사용한 상태 두가지 변수에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실행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진행했던 또다른 BX500 240GB의 결과를 같이 비교 해보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FBB4E5C57A62908)
먼저 CrystalDiskInfo를 통하여 상태를 확인 해봤습니다. 전과 같이 실제 용량은 223.6GB로 나오네요.
자기감시 체계인 SMART를 비롯하여 APM, NCQ, TRIM, DevSleep의 기능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69F3D5C57981A32)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CrystalDiskMark 입니다. 왼쪽이 클린상태, 오른쪽이 50% 채워진 상태 입니다.
초당 최대속도를 나타내는 Seq Q32T1을 보면 클린상태에서는 스펙과 비슷한 속도를 보여주지만, 50% 상태에선 쓰기속도가 하락합니다.
실제 체감성능을 나타내는 Q32T1 4KiB를 보면, 소폭 하락을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889495C3458B621)
먼저 진행되었던 BX500의 결과 입니다. 수치상 차이는 있지만,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비슷합니다.
그리고 지난 필드테스트의 50%의 쓰기속도 230은 잘못 측정되었단게 확실해졌습니다.
어째 지난 필드테스트 제품이 Q32T1 읽기 수치가 더 높게 나오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770365C5798C534)
다음은 AS SSD Benchmark 2.0 입니다. 앞의 CrystalDiskMark와 비슷하지만 성능을 점수로 환산하여 보여줍니다.
초당 최대속도는 520/470 으로 측정 됩니다. 속도 하락이 있으나 변화폭이 크진 않습니다.
그리고 이번 테스트에선 벤치마크 프로그램에 무슨 오류가 있는지, 액세스 타임이 측정 되지 않았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2794F5C3464DC0C)
지난 필드테스트의 AS SSD Benchmark 2.0 입니다. 종합 스코어가 약간 낮네요. 제품마다의 차이..?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C293B5C57A26807)
세번째로 나래온 더티테스트를 구동 해봤습니다. 최대속도는 505, 최소속도 40, 평균 속도는 148로 나오네요.
지난 테스트와 비교시 최대속도는 비슷하지만 평균속도는 많은 차이가 납니다. 아무래도 뽑기운일까요?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이 5.5%로 지난 테스트보다는 나은 모습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B40485C3467D111)
지난 더티테스트 결과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0834C5C57A60605)
그리고 BX500은 전용 소프트웨어인 STORAGE EXECUTIVE를 이용하여 Momentum Cache, Flex Capacity, 오버 프로비저닝 등 여러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마이크론 Crucial BX500을 살펴 보았습니다. 역시 지난번에 이어 읽기 속도는 준수하나 쓰기 속도에서 불안정한 결과를 보여주네요.
그리고 같은 제품, 같은 테스트에서 무시할수 없는 차이가 나는걸 보면 약간의 뽑기 운도 필요한가봅니다.
따라서 고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작업엔 부적합해 보입니다. 하지만 간단한 문서작업, 저사양 게임 등 가벼운 사용 목적을 가진 PC용도로는 역시 이만한 제품이 없습니다. 어찌보면 가장 중요한 스펙인 가격이 너무나 뛰어나기 때문이죠. 부담없는 가격에 SSD를 접해보고싶다면 BX500을 추천드립니다.
이상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사용기는 제휴사와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http://img.danawa.com/new/egroup/v1/img/bg_tag_banner.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