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주로 쓰는 케이블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주로 DVI, VGA, HDMI, DP등이 많이 쓰이곤 합니다.
그중 DVI, VGA는 상용화된지 20년이 넘어 조금씩 사라져가는 추세이고, 요즘은 HDMI와 DP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된 대부분의 그래픽카드가 출력포트를 HDMI, DP로만 구성하고 있지요.
DP는 VESA에서 제정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으로 HDMI와 동일하게 영상, 음성 신호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다만 HDMI가 먼저 출시되어 시장을 선점하는 바람에, 대역폭이 더 높고 개런티도 없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급률은 떨어지는 편입니다. TV쪽에선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이며, 모니터쪽도 보통 게이밍 분야에서만 DP를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ARTMU에서 출시한 DP 케이블을 다뤄볼 예정이기에, DP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가봤습니다.
ARTMU DP케이블의 사양입니다. 버전은 1.4로 하위버전과 모두 호환 가능합니다.
그리고 해상도는 최대 8K의 해상도에서 60Hz까지 지원합니다. 고대역폭 전송을 필요로 하는 4K 144hz 게이밍 모니터 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여담이지만 모니터시장의 해상도 점유율을 보자면 FHD의 점유율이 아직 넘사벽인데, 8K 모니터는 언제쯤 볼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케이블 길이는 1~5m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3m부터는 케이블 지름이 더 두꺼워집니다.
아래는 제품 링크입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4804039
https://smartstore.naver.com/artmu/products/5718117042
박스는 개봉여부를 확실히 알수 있도록 비닐밀봉 되어있습니다. 뭐 케이블을 재포장 할리는 없겠지만요.
박스 전체적으로 제품 이미지와 사양이 인쇄되어 있습니다.
박스를 열어보면, 반투명 비닐로 한번 더 포장된 제품이 나옵니다.
구성은 간단합니다. 케이블과 제품 보증서가 전부입니다.
케이블은 고무 스트랩으로 묶여있습니다. 스트랩이 별거 아닌거 같지만, 있으면 정말 편한 아이템이죠.
각 포트는 마개가 달려있고, 독립된 케이블 분리 버튼이 적용되었습니다. 보통 포트와 버튼이 일체형인 제품들이 많은데, 그런 제품들은 케이블 탈거시 내가 버튼을 누른건지 확실히 구분이 되지 않아 은근 불편합니다. 저도 예전에 한성 모니터 쓰면서 불편했던 기억이 나네요. 사소한부분도 놓치지 않고 신경쓴 모습입니다.
포트는 금도금 처리 되었고, 걸쇠가 달려있습니다. 걸쇠가 아예 없는 케이블도 있던데 탈착은 편하지만 아무래도 결속력이 떨어지는건 사실입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는거 같습니다.
또한 아트뮤 DP 케이블은 20번 핀이 더미가 아니라 아예 제거되어 출시 되었습니다. 몇년 전 커뮤니티에서 이슈가 되어 사람들이 샤프로 찔러서 핀을 직접 제거하기도 했었는데, 저도 직접 제거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 문제는 사실 1.1에서 해당되었던 이야기로 1.2 이후부턴 해결되기도 했고, 요즘 대부분의 제조사에선 더미핀으로 만들어서 출시하고 있긴 합니다. 하지만 아트뮤는 쓸모없는 핀을 남겨둔게 아니라 아예 제거를 했다는게 차이점이네요. 문제의 소지를 원천봉쇄 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아트뮤 DP 케이블은 아트뮤 브랜드로 등록된 VESA 공식인증 DP to DP 1.4 케이블입니다. 베사 인증을 받은만큼 좀더 믿고 쓸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아무래도 인증을 받으려면 비용이 들기에 제품가격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지는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가격이 특출나게 비싸진 않기에 큰 영향은 없나봅니다.
사실 컴퓨터를 구성하면서 케이블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진 않기에 케이블이 다 거기서 거기 아닌가, 싼게 장땡이지 란 생각을 평소에 갖고 있었습니다. 저렴한 DP 케이블은 2~3천원대 제품도 있는데, 사실 그런 케이블이랑 비교했을때 성능 차이는 없을겁니다. 다만 이번에 아트뮤 케이블을 다뤄보면서, 싼게 비지떡이란걸 확실히 느꼈습니다. 포장이나 디테일한 부분에서 확연한 차이점이 드러나더라구요. 모닝이나 벤츠나 굴러가는건 똑같지만 선호도는 극명히 나뉘죠.
고급 DP케이블을 구매할 계획이신 분들은 아트뮤 DP케이블을 추천드립니다.
[본 사용기는 주관사와 다나와 체험단 행사를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SKie/btrsrWbB2dc/EMnk9Jz1dPXNY4KWgSgJy0/img.png)
''Information 'T'echnology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화이트 600W 필드테스트 (0) | 2022.06.17 |
---|---|
쿨러마스터 MWE 750 BRONZE V2 230V 파워 서플라이 필드테스트 (0) | 2021.05.14 |
쿨러마스터 MWE 500 BRONZE V2 230V 파워 서플라이 필드테스트 (0) | 2021.03.05 |
ABKO SUITMASTER AXE 500W 파워서플라이 필드테스트 (0) | 2021.02.25 |
잘만 GigaMax 550W 80PLUS Bronze 230V EU 파워서플라이 필드테스트 (0) | 2020.12.02 |